Bootstrapping
resubstitution error는 한글로 재치환오류라고 하며 트레이닝 셋에서 훈련된 모델에서의 에러를 말한다.
다른 용어로는 In sample error라고도 한다.
당연히 수치는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왜냐하면 같은 데이터로 훈련하고 테스트 하기 때문이다.
Bootstrap sampling
큰 데이터 셋을 추정하기 위해서 임의로 여러번 샘플링을 하는것을 말한다.
When this principle is applied to machine learning model performance, it implies the creation of several randomly-selected training and test datasets, which are then used to estimate performance statistics.
The results from the various random datasets are then averaged to obtain a final estimate of future performance.
어떤 점이 그럼 k-fold Cross Validation이랑 다른 것일까?
이 방법은 생성한 각각의 구획들이 단 한번만 나타나게 된다.
하지만 bootstrap의 방법은 복원 추출을 하기 때문에 여러번 나올 수 있다.
증명에 의하면 초기 데이터 셋의 수인 N이 엄청 크다면, bootstrap으로는 63.2%를 커버한다는 증명이 있다.
결국 36.8%는 트레이닝 셋이다.
original data의 size가 N 레코드라고 하자. 이때 bootstrap으로 샘플링을 수행하면 N번 수행하면 당연히 N개의 레코드가 있고
이러한 N개의 레코드는 원래 original data size인 N개 중 63.2%를 포함한다고 한다.
N번의 bootstrap sampling에서 단일 record가 선택 되어질 확률은 아래와 같다.
$$1-(1-\frac{1}{N})^{N}$$
이것은 asymptotically approaches $1-e^{-1}=0.632$에 근접한다.
이렇게 bootstrap sampling으로 포함되지 않은 것들은 test set으로 자동으로 포함된다.
이에반에 10-fold cv를 할경우 90%가 결국 트레이닝이 된다.
N이 충분히 크다면 bootstrap은 더 낮은 representative를 보인다.
당연히 63.2%의 트레이닝 셋을 가지고 테스트 하기 때문에 더 큰 트레이닝셋을 가지고 만든 모델보다 더 낮은 정확도를 가지게 된다.
최종적인 error rate의 계산식은 아래와 같다.
$$ error = 0.632 \times error_{test} + 0.368 \times error_{train}$$
cross validation 보다 더 좋은 bootstap의 장점은 더 작은 dataset에서 잘 동작하는 특성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bootstrap sampling은 모델 정확도 향상의 효과가 있을 수도 있다
주어진 데이터로 부터 복원 표본을 구하는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해 원하는 값을 추정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보면,
평균의 신뢰 구간을 구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평균의 신뢰 구간은 평균이 속할 범위를 95% 신뢰도로 찾는 것이다.
부트스트래핑은 데이터로 부터 표본을 복원 추출로 구하고 이들의 평균을 기록하는 일을 반복한다.
이렇게 구한 평균들을 나열한 뒤 가장 작은 값으로 부터 2.5% 가장 큰 값으로 부터 97.5% 지점의 평균 두 개를 구한다.
그러면 두 평균 사이의 구간이 평균 95% 신뢰 구간이 된다.
실제 코드로 구현해 보자.
평균 30, 표준편차 3인 정규 분포로부터 1,000개의 난수를 만들고 이 난수로부터 역으로 평균을 추정해보자.
x <- rnorm(1000, mean=30, sd=3)
t.test(x)
One Sample t-test
data: x
t = 308, df = 999, p-value < 2.2e-16
alternative hypothesis: true mean is not equal to 0
95 percent confidence interval:
29.72329 30.10447
sample estimates:
mean of x
29.91388
t검정 결과 평균의 신뢰 구간이 (29.78891, 30.16317)로 구해졌다.
library(foreach)
bootmean <- foreach(i=1:10000, .combine=c) %do% {
return(mean(x[sample(1:NROW(x), replace=TRUE)]))
}
이제는 부트스트래핑으로 복원 추출을 통해 샘플을 구하고 평균을 구하는 작업을 10,000회 반복해보자.
평균의 신뢰구간은 이 평균들의 하위 2.5%, 상위 97.5%에 속하는 값의 구간이다.
bootmean <- sort(bootmean)
bootmean[c(10000*0.025, 10000*0.975)]
[1] 29.72578 30.10531
t검정과 유사한 값이 부트스트랩핑으로도 구해진것을 알 수 있다.
부트스트래핑을 사용한 모델의 정확도 평가도 마찬가지로 수행된다.
데이터의 일부를 트레이닝 데이터로, 일부를 테스트 데이터로 복원 추출을 통해서 구한다.
그리고 이를 수회 반복하여 정확도를 추정한다. 이것이 trainControl()에서 method="boot"가 하는 일이다.
.
'AI > Machine Learning with R'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oss Validation (0) | 2016.02.26 |
---|---|
Ensemble method: Bagging (bootstrap aggregating) (0) | 2015.11.19 |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0) | 2015.11.18 |
Evaluating Model Performance with R (2) | 2015.11.12 |
Naive Bayes with Caret package (R) (0) | 2015.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