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 Tense pairs


Present Simple / Present Continuous

두개의 차이는 Present simple는 permanent situation을 나타내고, present continuous는 temporary situation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present simple을 이용해서, 당신의 주장이 사실로써 받아들이도록 주로 사용된다.

즉, present continuous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나중에 실험 결과를 설명할때, Past Simple과 Present Simple 사이에서도 선택을 해야 한다.

다음의 예제를 보라.


a) We found that the pressure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rose, which indicated that temperatur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process.

b) We found that the pressure increases as the temperature rises, which indicates that temperature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process.




a) 처럼 과거로 사용할 경우, 찾아낸 사실은 단순히 현재의 연구 결과에만 영향을 미치는것 처럼 보이며, 저자는 그것의 가정을 주장하기 힘들다. 심지어, 다른 연구자는 똑같은 결과를 얻기위해서 매번 다시 그 작업을 해야하는 뉘양스를 풍기게 된다.


b) 현재를 사용할 경우 찾아낸 결과는 충분히 사실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

연구에서 찾는 사실이나, 결과는 불변의 참값이므로, 현재 시제로 작성 한다. 즉, 이러한 경우 강하게 그것이 진실이며, 통용되는 사실이라고 믿게 만든다. 논문을 읽는 독자는 이러한 결과에 맞추어서 지속적으로 생각을 이어가게 된다. 혼돈을 주지 않는다. 이러한 주장과 결과에대한 기술법은 Result 섹션에서도 중요하게 다룬다.


결론: 논문이란 새로운 결과를 주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Present Simple을 주로 사용해라. 


Past Simple vs Present Perfect

둘다 Introduction을 작성할 때 필요한 시제이다.

하지만, 언제 사용해야되는지를 적절히 살정 해야한다.


(a) Past Simple: I lived in Tokyo for five years ~ 

-> But i don't live there anymore.

(b) present Perfect: I have lived in Tokyo for five years

-> and I still live there NOW.

(c) Past Simple: I broke my glasses~

-> but it doesn't matter / I repaired them

(d) Present Perfect: I have broken my glasses

-> and so I can't see properly NOW.

(d)의 표현은 (c)보다 더 현재에 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내포 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들이 왜 Introduction을 작성하는데 중요한지를 다음 예제를 통해서 생각해보자.

아래의 예제는, Introduction에서 특히, previous research를 나타낼때의 예제이다. 과거의 연구의 부족한점을 기술할때 tense는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어지며, 잘못된 사용은 심각한 오류를 발생 시킨다.


[Present Perfect]

For example, Penney et al. showed that PLA composites could be prepared using blending techniques and more recently, Hillier established the toughness of such composites. However, although the effect of the rubber particle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opolymer systems was demonstrated over two years ago,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selection of an appropriate rubber component

계속해서 Past Simple을 사용하다가, 갑자기 Present Perfect를 사용한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현재 논문은 적합한 rubber component를 선택하는것에 관심을 기우리고 있다는것을 보이기 위함이다.

*Note: a little means 'a small amount', but little meas 'virtually none'.


만약 Writer가, 마지막 문장을 계속해서 Past Simple로 작성할경우,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는지 생각해보자.

[Past Simple]

However, although the effect of the rubber particle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opolymer systems was demonstrated over two years ago, little attention was paid to the selection of an appropriate rubber component.

2년전에 적합한 rubber component를 선택하는 것을 관심 가졌었다는 의미가 된다. 아마도 그러한 관심은 그때 부터 계속 지속되었을 것이고, 결국 그 문제는 해결 되었을 것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게 된다.


결국, tense의 변경은 항상 의미의 뱐화를 내포 하고 있으므로, 임의로 생각없이 변경해서는 안된다. 사용과 변경에 있어서 신중함을 기해야 한다. 


1. Abstract
현재로 사용 모든것을


2. 서론

현재 사용

과거 연구는 과거나, 현재완료


2. 실험 부분 작성


실험 환경이나 연구 방법은 simple past를 사용 한다.


표 그림 설명의 경우 Simple present를 사용 한다.


내용의 기술시 시제는 과거 그러나 표와 그림은 현재시제로 한다.



3. Discussion and Conclusion 

내용기술에서 시제는 과거로 그러나 해석 결론 유추 등은 현재시제 사용



Unit 03: Results


Result do not speak for themselves!


같은 23% 라도,

in as many as 23% of cases

in only 23% of cases

interpretation에 따라서 다르게 전달 되어 진다.


interpretation의 전략



3.3.3 The model


Here are the sentence descriptions we have collected:


In sentences 1,2

-> the writer refers to the findings and conclusions obtained by other researchers.


In sentences 3,4

-> the writer refers back to her/his own methodology and adds more information about it.


In sentence 5

the writer invites the reader to look at a graph / figure / table / etc.


In sentence 6

-> the writer refers to specific results and compares them with those obtained in another study, using subjective, evaluative language.


In sentence 7

-> the writer offers a general statement about his/her results to begin a new paragraph.


In sentence 8

-> the writer refers to specific results and compares them to those obtained in another study, using language that comments on the result(s).


In sentences 9 and 10

-> the writer selects specific results to describe in more detail, using language that comments on the results.


In sentence 11

-> the writer refers to the method used to analyse the results.


In sentence 12

-> the writer mentions a problem in the results and uses quantity language to minimize its significance.


In sentence 13

-> the writer makes a reference to the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of the work s/he has done.




 1

 Revisiting the research aim / existing research

 Revisiting / expanding methodology

 General overview of results

 2

 Invitation to view results

 specific / key results in detail, with or without explanations

 comparisons with results in other research

 comparison/s with model predictions 

 3

 problems with results 

 4

 possible implications of results 











Unit 1: How to Write an Introduction


1.1 Structure





1.2 Grammar and Writing Skills


지금 부터 서론 작성에서 중요한 4가지를 다루겠다. 각각은 다음과 같다.

  • TENSE PAIRS
  • SIGNALLING LANGUAGE
  • PASSIVE / ACTIVE USE
  • PARAGRAPHING



1.2.1 Tense pairs


Present Simple / Present Continuous

두개의 차이는 Present simple는 permanent situation을 나타내고, present continuous는 temporary situation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present simple을 이용해서, 당신의 주장이 사실로써 받아들이도록 주로 사용된다.

즉, present continuous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나중에 실험 결과를 설명할때, Past Simple과 Present Simple 사이에서도 선택을 해야 한다.

다음의 예제를 보라.

a) We found that the pressure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rose, which indicated that temperatur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process.

b) We found that the pressure increases as the temperature rises, which indicates that temperature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process.


a) 처럼 과거로 사용할 경우, 찾아낸 사실은 단순히 현재의 연구 결과에만 영향을 미치는것 처럼 보이며, 저자는 그것의 가정을 주장하기 힘들다. 심지어, 다른 연구자는 똑같은 결과를 얻기위해서 매번 다시 그 작업을 해야하는 뉘양스를 풍기게 된다.


b) 현재를 사용할 경우 찾아낸 결과는 충분히 사실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

연구에서 찾는 사실이나, 결과는 불변의 참값이므로, 현재 시제로 작성 한다. 즉, 이러한 경우 강하게 그것이 진실이며, 통용되는 사실이라고 믿게 만든다. 논문을 읽는 독자는 이러한 결과에 맞추어서 지속적으로 생각을 이어가게 된다. 혼돈을 주지 않는다. 이러한 주장과 결과에대한 기술법은 Result 섹션에서도 중요하게 다룬다.


결론: 논문이란 새로운 결과를 주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Present Simple을 주로 사용해라. 


Past Simple vs Present Perfect

둘다 Introduction을 작성할 때 필요한 시제이다.

하지만, 언제 사용해야되는지를 적절히 살정 해야한다.


(a) Past Simple: I lived in Tokyo for five years ~ 

-> But i don't live there anymore.

(b) present Perfect: I have lived in Tokyo for five years

-> and I still live there NOW.

(c) Past Simple: I broke my glasses~

-> but it doesn't matter / I repaired them

(d) Present Perfect: I have broken my glasses

-> and so I can't see properly NOW.

(d)의 표현은 (c)보다 더 현재에 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내포 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들이 왜 Introduction을 작성하는데 중요한지를 다음 예제를 통해서 생각해보자.

아래의 예제는, Introduction에서 특히, previous research를 나타낼때의 예제이다. 과거의 연구의 부족한점을 기술할때 tense는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어지며, 잘못된 사용은 심각한 오류를 발생 시킨다.


[Present Perfect]

For example, Penney et al. showed that PLA composites could be prepared using blending techniques and more recently, Hillier established the toughness of such composites. However, although the effect of the rubber particle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opolymer systems was demonstrated over two years ago,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selection of an appropriate rubber component

계속해서 Past Simple을 사용하다가, 갑자기 Present Perfect를 사용한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현재 논문은 적합한 rubber component를 선택하는것에 관심을 기우리고 있다는것을 보이기 위함이다.

*Note: a little means 'a small amount', but little meas 'virtually none'.


만약 Writer가, 마지막 문장을 계속해서 Past Simple로 작성할경우,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는지 생각해보자.

[Past Simple]

However, although the effect of the rubber particle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opolymer systems was demonstrated over two years ago, little attention was paid to the selection of an appropriate rubber component.

2년전에 적합한 rubber component를 선택하는 것을 관심 가졌었다는 의미가 된다. 아마도 그러한 관심은 그때 부터 계속 지속되었을 것이고, 결국 그 문제는 해결 되었을 것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게 된다.


결국, tense의 변경은 항상 의미의 뱐화를 내포 하고 있으므로, 임의로 생각없이 변경해서는 안된다. 사용과 변경에 있어서 신중함을 기해야 한다. 



1.2.2 Signalling Language


Sentence connection

문장 작성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실수중 하나는, 각각의 문장들이 연결되지 않는 문제이다.

즉, 한단락이 끝나거나, 새로운 내용이 시작될때, 보통 컴퓨터를 끄고 집에간다. 다음날, 다시 그 부분부터 작업을 하게 된다. 과연, 다음 날 시작할때 의미상 Gap이 없이, 잘 작성할 자신이 있는가?

통상은 그렇지 못하다. Writer는 알더라도, reader는 절대로 사소한 의미상 Gap 조차 용납하지 못한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소개 한다.


One was to connect sentences is to overlap meaning to repeat something from the previous sentence:

The pattern of inflammation during an asthma attack is different from that seen in stable asthma. In stable asthma the total number of inflammatory cells does not increase.


One way to toughen polymers is to incorporate a layer of rubber particles. As a result, there has been extensive research regarding the rubber modification of PLA.


Another way is to use a pronoun (it, they) or pro-form (this method, these systems) to glue the sentences together:

Many researchers have suggested ways of reducing cost without affecting the quality of the image. These methods rely on data structures built during a preprocessing step. 


On the basis of these criteria it then describes the preparation of a set of polymer blends using PLA and a hydrocarbon rubber (PI). This combination of two mechanistically distinct polymerisations formed a novel copolymer in which the incorporation of PI significantly increased flexibility.


문장을 끝내지 말고, semicolon 또는 relative clause를 이용해서 연결 한다.

Th e procedure for testing whether components are operationally safe usually takes many hours; this means that tests are rarely repeated. 


It has received much attention over the past few decades due to its biodegradable properties, which offer important economic benefits.


위 4가지 전략 외에도,


connector를 적절히 사용하면, 의미를 명확히 할 수 있다. therefore, however를 적절히 사용하면, 독자가 모든 문장을 이해하지 못해도, 최소한 결론만큼은 이해할 수 있게된다. 이러한 것들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독자는 해당 정보가 가지는 의미를 이해하기 어렵다. 


문법완벽하고, 모든 단어가 정확히 사용됬더라도 독자는 그 뜻을 잘 이해할 수 없을때가 많다. 따라서 connector를 이용해서 구분을 지어주며, 의미를 분명히 표현해 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매번 therefore, however를 사용할 수는 없다. 아래에 science writing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connector를 정리 했다.


Note: 아래의 설명을 보면, however나 therefore를 접속사처럼 쓰는 예문이 있다. 사실 엄밀히 말하면 틀린것은 아닌데, 현대영어에서는 접속사로 잘 쓰지 않으니, 그점을 유의해서 볼 필요가 있다. 특히 한국에서는 접속부사로써, 접속사로 쓰지말라고 가르치고 있으니, 안쓰는게 좋다. 

CAUSE

Th e experiment was unsuccessful ________ the measuring instruments were 

inaccurate.

Th e experiment was unsuccessful ________ the inaccuracy of the measuring 

instruments.


due to (the fact that) as

on account of (the fact that) because

in view of (the fact that) since


•  Be careful when you use since; it is also oft en used to mean ‘from 

that time’, so if there’s any possibility of confusion, choose a different 

connector.

•  All these connectors can be used at the start of a sentence, even because

(Because the measuring instruments were inaccurate, the experiment was 

unsuccessful).


RESULT

The measuring instruments were calibrated accurately, ________ the experiment was successful.


therefore /  as a result (of which)

consequently / which is why

hence / so


•  Don’t start sentences with so to communicate a result; it’s too informal.

  You can sometimes use then, for example in sentences like ‘If x then y’, but it won’t work in every sentence, which is why it has not been included in this list.


CONTRAST/DIFFERENCE

British students are all vegetarians, __________ Norwegian students eat meat every day.


however / on the other hand

whereas / while

but / by contrast


 on the contrary and conversely don’t fit into this category because they don’t only communicate difference; they communicate the fact that ‘exactly the opposite is true’, so you can’t use them in the sentence above (because vegetarians and meat eaters aren’t opposites, they’re just different). 


However, you could use them in the following sentence: 

Some experiments used uncalibrated instruments and succeeded; conversely, other experiments used carefully calibrated instruments and failed.

•  Be careful when you use while; it is also oft en used to mean ‘at that/the same time’, so if there’s any possibility of confusion, choose a different connector.



UNEXPECTEDNESS

(a) _______ it was difficult, a solution was eventually found.

(b) _______ the difficulty, a solution was eventually found.

(c) It was difficult; ________ a solution was eventually found.


(a) Although         (b) Despite            (c) nevertheless

(a) Even though    (b) In spite of         (c) however

(a) Though         (b) Regardless of   (c) yet

  (b) Notwithstanding (c) nonetheless

(c) even so


Th ere are other connectors with the same meaning, such as still and anyway,but they are more informal.


ADDITION

We used a batch processing system because it was more effective; 

___________ it was faster.


in addition / also

moreover / secondly (etc.)

furthermore / in the second place (etc.)

apart from that/which     /   what is more


•  besides has more or less the same meaning as the items in the list above, but it’s more powerful and is therefore better used in more persuasive contexts.



1.2.3 Passive / Active 


종종 논문을 쓰다보면, Active로 쓰라는 말을 많이 듣는다. 한국어는 주어를 잘 쓰지 않으니 어렵지않다.

영어로 작문하다보면, Active를 쓸려고 하다보니, 주어를 생각하게 되고, We 를 많이 쓰게된다. 


과연 We를 research group이나 team을 지칭하기 위해서 논문에서 써도 될까?

결론은, "쓰지 말아야 한다" 이다. 한 두번이야 쓸수 있지만, in general 하게 막 써서는 안된다. 

실제로, 본인이 IEEE transaction에 수차례 떨어질때 에디터의 지적중 하나가, we를 쓰지말라는것이다. 

아래는 해당 에디터의 지적 원문이다.

The level of the use of the English language is unsatisfactory to be included in this publication, and/or the paper has instances of being written in the first person tense (the instructions clearly state the paper is to be written in the third person tense so no 'we', 'us', 'our', 'I', etc.) Authors whose primary language is not English are advised to seek help in the preparation of the paper.


결론은 Third person tense로 작문하라는것이었다. 

그래서, we를 제거하다보니 8 pages 논문에서 90개가 넘는 사용이 있었다. 

당시에는 accept를 목표로 생각없이 모든 We를 포함하는 Active 문장을 무작정 Passive 문장으로 변경 했었다. 하지만, 이것은 논문은 Active로 작성하라는 기본적인 원칙에 반하는 것이며, 독자로 하여금 혼란을 야기 시킨다. 그래도 논문은 붙었으니 First person tense 사용보다는 괜찮은것인것 같다.


그렇다면, 어떻게 we를 안쓰고 Active 문장을 만들것인가? 방법은 두가지 이다.


  • It을 사용하자.

We know / think that -> It is known / thought that 


또 다른 경우로, 만약Thesis를 작성한다면, research group 또는 team이 아니라, 개인 연구인것을 나타내야하므로, 어려울 수 있다. 그렇다고, I 를 쓸수는 없다. 그래서 보통, Passive 문장을 다시금 이용하게 된다.


Passive로 바꿔서 사용할 경우에는 here 또는 In this study 등을 사용해서 스스로의 연구임을 지칭 하면 된다.


Active로 하고싶은 경우, Dummy를 이용해서 i 또는 we와 같은 subject를 대체 할 수 있다.

  • This article describes an algorithm for clustering sequences into index classes.
  • The present paper presents a set of criteria for selecting such a component.


Passive sentence를 사용할 때의 문제는 agent를 나타낼 수 없다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by me 또는 by other researchers 와 같이 쓸 수 없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독자는 agent를 생각하며 글을 읽어야 하고, 직관적이지 않다.

따라서, Introduction에서는 agentless 한 Passive 표현을 쓰지 말아야 한다. 

그렇다고, We 를 써서도 안된다. 

따라서 Dummy subject가 최적의 방법이다. 상황에 따라, agent가 너무나도 분명하다면, passive를 써도 된다.



1.2.4 PARAGRAPHING 


Paragraph은 읽을때나 쓸때 모두 효과적인 시각화 지원을 해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이때의 기본적인 오류는 두가지이다.

1) 너무 짧거나 단일 문장으로 paragraph을 만드는 것

2) 너무 길게 paragraph을 만드는 것


두 에러모두 독자에게 혼란을 주며, 저자에게는 잘못 글이 구성되고 있다는것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좋은 Paragraphing을 간단한 예로 설명한다.


소설에서는,즉 추리소설에서는 스토리 텔링이 중요하다.

의문점들을 쭉쭉 뿌리면서, 등장인물들을 나열하면서, 최종적으로 범인을 색출 하게된다. 


하지만, Science writing에서는 사실을 감춰서는 안된다. 가장 먼저, 사실을 먼저 보여줘야한다.

그리고 상세한 설명이 뒤따라온다.

추리소설을 읽을때 범인이 누군지, 왜그랬는지, 모두 안다면, 소설에 대한 흥미는 급속도로 떨어지지만, 

스스로 필요없는 정보를 제거하면서, 빠르게 소설을 읽을 수 있다. 왜냐하면, 등장인물에 대해서 세세히 집중할 필요도없으며, 의문점들에 대해서도 그렇게 집중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면서도 사건의 전체 흐름과 수사 과정에대해서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위 차이가 바로 Science writing에서의 paragraph 생성의 핵심이다. 즉, 두괄식으로 작성 하라는 것이다.

우나라말은 항상 결론이 끝에 나온다. 이런 악습관을 science writing에서는 버려야한다. 항상 보여주고자 하는 결론을 가장 간단하고, 명확한 문장으로 paragraph 앞에 기술하라. 그다음에 상세한 이유와 과정 그리고 특징을 설명 하면 된다.


잘 쓴다는 것은, 독자를 고려한 글쓰기가 되어야 한다. 어떻께 훑어보기를 하는지 알아보자.


How to I skim efficiently and quickly?

아래는 skimming 하는 방법을 기술한 것이다.

대부분의 가이드는, look at or check 하라는 것이다. 읽는것이 아니다. 훑어 보는 것이다.


1. READ THE TITLE 

and try to predict the type of information you expect to see 

2. LOOK AT THE NAME OF THE AUTHOR 

What you know about the writer will help you predict and evaluate the content. 

3. CHECK THE DATE 

and use it to help you assess the content.

4. READ THE ABSTRACT 

to find out what the researchers did and/or what they found 

5. LOOK QUICKLY AT THE FIRST PARAGRAPH 

without trying to understand all the words.

6. LOOK QUICKLY AT THE FIRST SENTENCE OF EACH PARAGRAPH 

without trying to understand all the words

7. LOOK QUICKLY AT EACH FIGURE/TABLE AND READ ITS TITLE 

to try and find out what type of visual data is included

8. READ THE LAST PARAGRAPH

especially if it has a subtitle like ‘Summary’ or ‘Conclusion’ 


Skimming may help me read, but how does it help me to write?

6번째를 보면, 대부분 paragraph의 첫문장에 중요한 정보가 있으므로, 그것을 주의 깊게 읽으라고 되어 있다.

즉 academic writing은 시작에서 정확히 main idea를 기술해야한다. 그다음 올것은, 상세한 설명과 예이다. 만약 첫 줄의 주제문과 너무 거리가 먼 내용을 기술해야 한다면, 새로운 paragraph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Correct paragraphing is essential

하지만, 매우 쉽게 paragraphing을 생각 없이 작성하는 안좋은 습관을 가지게 된다. 귀찮음이나, 부주의함을 언제나 조심해야한다.


반드시, paragraphing을 하기전에, 각각의 paragraph에 들어갈 main idea/concept을 리스팅하고, 그것을 bullet point로 마크한다음 논리적인 흐름이 이어지는지 확인해야한다.

그다음 조심스럽게 paragraphing을 해야한다. 무작정 쓰면, 엉망이된다.



1.3 Writing Task: Build a Model



1.3.1 Building a model



1.3.2 Key


Introduction의 첫번째 문단은 해당 연구가 왜 중요한지를 기술 해야 한다.

In Sentence 1 ‘Polylactide (PLA) has received much attention in recent years due to its biodegradable properties, which offer important economic benefits.’  the writer establishes the importance of this research topic. 


What if I don't have the confidence to say that my research is important?

만약, 정말로 저렇다 하더라도, 중요함을 필역 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렇다면, 해당 연구는 가치를 잃어버린다.

자신의 연구가 중요하거나 유용하다는 것에 대해서 기술하는것을 부끄러워 하지 말라.


What tense should I write in here?

과거 연구를 이야기 할때는 Present Perfect tense를 사용

Much study in recent years has focused on....

현재 나의 연구의 중요성을 이야기 할때는 Present Simple tense를 사용

There are substantial benefits to be gained from .....


In Sentence 2 'PLA is a polymer obtained from corn and is produced by the polymerisation of lactide.’ the writer provides general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e reader.


So What kind of facts should I start with?

광범위한 곳에 출간되는 연구라면, 좀더 일반적인 내용으로 뒷밤침하고,

좁은 범위에 출간된다면, 고급수준의 내용으로 본인의 연구가 가치있음을 주장해야한다.

두 경우 모두 반드시 레퍼런스를 명시해야 한다.


What if there are several background facts I want to start with, not just one?

How do I know which one to begin with?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시작하면 된다. 그것은 대부분의 독자가 알 수 있을 만한 것이다.

항상 상세한것을 설명하기 이전에 큰 그림을 먼저 소개시켜줘야 한다.


I'm still not sure where to begin.

논문 제목과 타이틀이 도움을 줄 수있다. 그것을 이용해서 시작을 이끌어 낸다.


Can't I start by describing the problem I am hoping to solve?

할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저자들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독자들은 기본 지식이 부족하므로, 그것을 이해하기 어렵고,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저자는 글 작성에 많은 노력을 기우려야한다. 이것은 더 어려운 작업이다.


In Sentence 3 ‘PLA has many possible uses in the biomedical field(1) and has also been investigated as a potential engineering material(2,3) the writer does the same as in Sentences 1 and 2, but in a more specific/detailed way, using research references to support both the background facts and the claim for significance.


Don't the research references means that this is part of the literature review?

여전히 그것은 배경지식이 맞으므로 잘 작성 해야 한다.


So why does the author include reference if it's only the background?

첫번째, Plagiarism 방지

두번째, 독자들에게 좀더 읽고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한다.

the third reason is that failing to provide a reference may indicate that you are not familiar with research in your area.


이것을 위해선, 논문을 작성하기 이전에 반드시 많은 참고문헌들을 수집 해야함을 의미한다. 


서론을 작성할때, 스스로에게 다음과 같은 3가지 질문을 던져봐야 한다.

1) Which of the research papers I have read should be mentioned somewhere in the Introduction?

참고문헌을 선택하고 배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내가 선택한 참고문헌들은 현 시점에서 가장 대표적인 연구들이며 그것들과의 관계를 기술하는것은 독자로 하여금 해당 연구가 어떠한 의미와 위치를 가지는지를 명확히 이해하게 하는 효과를 가져 온다.


2) Which ones should be part of the background to the research and which ones should go in the literature review which comes later in the Introduction?


3) What order should I mention them in? 


In Sentence 4 ‘However, it has been found to be too weak under impact 

to be used commercially.

4

’ the writer describes the general problem 

area or the current research focus of the field. 




In Sentence 8 ‘Th e present paper presents a set of criteria for selecting such a component.’ the writer describes the paper itself.


본인 방법의 정당성을 기술 할때는 보통 Present Simple Tense를 사용 한다.


Past Simple Tense는 논문의 목적을 이야기 할때 쓴다.

The aim of this project was .... 

하지만 이것은 부분적으로만 가능한 시제는 주의해서 사용 한다. 즉, 논문에서 부분적인 성과거나, 논문의 나머지 부분이 향후에 해결 될 것이거나, 다음 단게에서 보고되어질 경우이다.



In Sentence 9  ‘On the basis of these criteria it then describes the preparation of a set of polymer blends using PLA and a hydrocarbon rubber(PI).’the writer  gives details about the methodology reported in the paper.


In Sentence 10‘This combination of two mechanistically distinct polymerisations formed a novel copolymer in which the incorporation of PI significantly increased flexibility.’ the writer announces the findings.


기법과 찾은 결과를 기술 한다. 하지만, 중요한것은 절대로 너무 디테일한 내용을 다루워선 안된다.



1.3.3 The model 


각각의 요약하면, 내가 생각하는 4가지 블럭이다.

1) 연구의 중요성을 만들어냄

2) 일반적인 배경지식을 이야기함 (중요성에 관한)

2-1) 저널의 특성에따라 구지 필요 없을 수도 있다.

3) 좀더 상세하고 디테일 하게 설명한다. (레퍼런스를 인용 하라는 것 배경지식을 설명 하기 위해서)


4) 중요한 것들에 대한 일반적인 문제점들을 이야기 한다. 

    문제점이 일반적일 때는 레퍼런스가 필요 없으며, 다소 무리가 있으면 레퍼런스를 달아야 한다.


    혹은 현재 연구들이 이 분야에 많음을 이야기 한다.연구들을 이야기 할때는 레퍼런스가 필요하다.


5) 글쓴이는 일반적인 문제점에서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맥을 전환 해야 한다.




6) 핵심 연구들에대한 간략한 리뷰를 한다.

리뷰하는 방법들

Chronological: 사건의 발생 순서대로 그것을 나열 한다.

Different approaches / theories / models: 각각의 특성들을 묶어서 설명 한다. 그리고 이것은 However or On the other hand 등을 이용해서 분류 할 수 있다.

general / specific: Start with general research in the filed and gradually move to research that is closer to your own.


7) 제안하는 연구와 기존 연구들 간의 차이점을 이야기한다.


8) 제안하는 논문의 내용을 기술 한다 간략히

9)  제안하는 방법을 설명

10) 찾는 결과를 말한다.


위의 것들을 요약해서 4개의 Basic component로 만들면 다음과 같다.


Establish the importance of your filed

Provide background facts / information

Define the terminology in the title / keywords

Present the problem area / current research foucs

 Previous and / or current research and contributions

 3

 Locate a gap in the research

Describe the problem you will address

present a prediction to be 

 4

Describe the present paper 



1.3.4 Testing the Model  


각자 연구의 서론을 읽어면서, 1,2,3,4를 표시해 보자.


이러한 연습을 통해서 많이 완성 할 수 있는 것이다.




1.4 Vocabulary 


해당 어휘들은 600편의 논문들에서 추출한 것이며, 모두 Native 에서 가져온 것이다.


각각의 서론 모델들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들을 정리해 본다.


1) Establishing significance

일반적인 words와 expression을 이용해서 해당연구의 중요성을 강조


2) Previous and / or current research and contributions

past tense verb를 사용한다. 

'did' 같은 것들을 쓰면 안되고, calculated, monitored, 등과 같은 해당 연구자가 구체적으로 뭘 했는지 past tense verb로 명확히 표현 해야 한다.


3) Gap / Problem / Question / Prediction

여기서는, 명확하고 정확하게 이전의 또는 현재 연구들이 제안하는 논문에서 다루는 문제점에 대해서 완벽히 해결하지 못하거나 아에 다루지 않았음을 이야기 해야 한다. 


4) The present work

제안하는 연구의 목적, 전략 디자인 등을 설명한다



1.4.1 Vocabulary for the Introduction 


1) Establishing significance




Here are some examples of how these are used:


•  A major current focus in population management is how to ensure sustainability of…

•  Numerous experiments  have established that ionising radiation causes…

•  Low-dose responses to radiation have generated considerable recent research interest.

•  Analysis of change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is vital for two important reasons: …

•  PDA accounts for over 95%of all pancreatic cancers.

•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joints in steel frames operate in a semi-rigid fashion.

•  Nanocrystalline oxide films are attracting widespread interesti n fields such as…

•  The importance of strength anisotropy has been demonstrated by…

•  Convection heat transfer phenomena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  For more than 100 years researchers have been observing the stress strain behaviour of…

•  Much research in recent years has focused on carbon nanotubes......



2) Verbs used in the literature review to present previous and/or current research and contributions


이것들은 4번째 파트에서 동사들 대부분은 무엇을 이 논문에서 할 계획인지를 설명 할때 재사용할 수 있다.


4) GAP / question / problem / criticism


핵심은 너무 강하게 비판할 우려가 있으니, 그것을 조심해야한다. 선행 연구자에대한 예의를 지켜야 한다.


4) the present work


논문의 나머지 부분이 어떻게 구성될지를 쓸때, 동사를 너무 한가지로만 쓰면 안되는 것을 주의하자.



1.5 Writing an Introduction 


연습이 가장 중요하다.




'논문 작성 > Science Research Writing for Non-Native Speakers of English'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nse  (0) 2015.02.04
Unit 03: Results  (0) 2014.12.29

+ Recent posts